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랜 역사가 깃든 남대문시장의 역사를 알아보고 시장의 특징과 현황도 살펴볼께요

by 부자손선생 2023. 11. 26.

남대문시장 다양한 먹거리

남대문시장의 유구한 역사를 살펴볼께요

남대문시장(南大門市場)은 서울특별시 중구, 숭례문(남대문) 부근 동쪽에 위치한 종합재래시장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 회현역과 가깝다. 남대문 부근 시장의 기록은 조선 초기인 태종 때나 세종 때에도 확인된다. 임진왜란 이후(1608년)로 선혜청이 세워져 시장이 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22년 이후로는 일본인 회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광복 후 상인연합회가 구성되었다. 현재 남대문 시장은 동대문 시장과 함께 서울의 2대 시장 중 하나이다. 숭례문을 기점으로 사방에 크고 작은 1만점 이상의 상점이 줄지어 서 있다. 이 시장에는 토산물/일용품/식료품/의료품 등을 취급하고 있다. 근처에는 명동, 한국은행, 국민은행 본점 등이 있다. 또한 남대문 시장 외곽에 신세계백화점 본점이 있어 외국인이 많이 찾는다. 또한 버스로 한 정거장 뒤에는 롯데백화점 본점이 있다. 조선 초기부터 600년 이상 상업 활동이 이어진 유서 깊은 전통시장이다.1414년 '정부임대전' 을 개시한 것을 시작으로 시장의 시초가 되었으며 일제 때인 1911년 친일파 송병준이 '조선농업주식회사' 를 설립한 것을 계기로 지금의 시장이 개장되었고 이 때부터 상거래 등을 처음 시작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육의전이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어 한양 도심에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없어 남대문 바깥쪽에 시장이 서기도 했다. 1922년에는 한때 소유주가 일본인으로 바뀌어서 일본인 소유의 시장이 되기도 했으며, 1936년에는 조선총독부의 훈령에 따라 남대문시장이라는 명칭 대신 '중앙물산시장'이라는 명칭으로 강제 변경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 때까지는 일본 상인들의 독점횡포 등으로 인하여 한국인 상인이 운영하는 점포는 소수에 불과하기도 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점포도 일본인들이 마구 쫓아내는 바람에 염천교 쪽으로 점포를 옮겨야 하는 수난도 겪어야만 했다. 세금징수 면에서도 일본인 지주들의 횡포 때문에 한국인 상인의 경우 일본인 상인에 비해 많은 세금을 지불해야 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일본인들이 모두 쫓겨나고 염천교 등으로 밀려났던 한국인 상인들이 다시 돌아오기도 하여 활기를 띄기도 했으나,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발발하고 북한군이 서울을 함락시키면서 상인들이 모두 피신하거나 일시 철수하고 시장도 전쟁으로 인해 폐허로 변하는 등 한때 시장기능이 마비되어 상거래가 전면중단 되기도 했다. 1968년에는 시장에 대화재가 발생하여 중심부가 전소되고 상점들도 화재 및 재산 피해를 입는 수난을 잇따라 겪었으며, 1975년에도 화재가 재발하여 화재 및 재산 피해를 내는 등 전쟁 이후에도 화재로 인한 수난과 피해를 여러 차례 입기도 했는데, 특히 전기로 인한 화재가 잦았다.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전기 설비도 노후화되어 누전이나 합선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래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전기 설비 용량이다. 대구광역시 최대의 재래시장인 서문시장도 2지구에서 2005년 말 전기 때문에 큰 화재가 발생했다.

남대문시장하면 떠오르는 특징은 이런거지요

시장의 특성상 주로 의류를 취급하는 곳이 많지만 섬유제품, 주방용품, 가전용품, 민예품, 토산품, 일회용품, 수입상품 등을 취급하기도 하며, 현재는 중국, 일본, 미국 등을 비롯한 외국인 관광객들도 방문하고 있다. 수입과자의 경우는 동네에 하나씩은 있는 수입과자점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건 기본이요, 이태원에서조차 잘 안보이는 품목도 가끔 있을 때가 있다. 특히 포핀쿠킨(가루쿡이라는 명칭은 잘못되었다. 문서참조)이 입소문을 타던 2010년대 중반 특히 포핀쿠킨을 구하기 어려운 때에 이색 과자 매니아나 초등학생들이 꼭 한번쯤은 들리고 싶어하는 장소로 손꼽혔었다. 허나 사건사고가 하나 있다면 이시절 남대문시장에서 팔던 수입과자들은 대부분 정식 허가도 받지 않은채 불법으로 유통 및 판매되고 있던 과자들이었다는 점이다. # 자세한 내막은 포핀쿠킨 문서 참조. 이마저도 2020년대 들어 요즘에는 옛날 이야기가 되어서, 지금은 정식으로 수입도 통과되었고 포핀쿠킨을 동네 수입과자점이나 아이스크림 할인점 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지리적으로 명동과 이웃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백화점, 쇼핑몰 등이 들어서 있다. 이외에도 시장 골목에 있는 음식점 및 맛집들도 밀집해 있다. 주로 독립된 상점들이 밀집해 있으며 자치적으로 가격을 정하는 편이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결되는 구조를 표방하기도 한다. 예전에는 카메라가 외국에서만 제조되었고, 고가품이었기 때문에 이런 수입상가에서 카메라를 파는 일이 많았다. 그게 지금까지 이어져서 수많은 카메라 샵이 밀집하게 되었다. 길 한쪽이 카메라샵으로만 꽉 차있는 광경은 가히 장관이다. 카메라 한정으로 필름카메라뿐만 아니라 일반 디지털카메라나 DSLR도 용산 전자상가 같은 곳보다 이쪽이 더 저렴하게 구할 수 있고, 사기 당할 확률도 비교적 상당히 낮다. 이는 소형 음향기기도 마찬가지인데, 단골인 경우 용산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기에 CDP나 MD 매니아들은 용산보다는 남대문을 주로 선호했으며, 지금도 단파라디오, CDP, MD, 찍찍이, 구형워크맨 등을 파는 가게들이 남아있다.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맞출 수 있는 안경점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대체로 회현역 입구 주변으로 안경점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수입 렌즈나 특수 렌즈를 사용하여 안경을 맞춰야 할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빠르고 저렴하게 맞출 수 있다. 그래서 동네 안경점들이 가격이 저렴함을 내세울 때 남대문보다 저렴하다고 강조한다. 대한민국에서 수입 주류를 가장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곳 중 하나이다. 그래서인지 주류 관련 커뮤니티나 주류 갤러리 같은 곳에서 심심찮게 남던(남대문+던전)에 갔다왔다는 인증샷이 올라온다. 다만, 여기서도 용산 전자상가 같은 초보자 덤터기 씌우기가 존재하는지라 미리 사전에 정보를 찾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주류 갤러리 내에서는 용산처럼 가격 자체를 텀탱이 씌우는 곳은 사실상 없다고 보는 의견이지만 일부 상가에서는 비인기 품목에 대한 재고처리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주류 갤러리 내에서는 한때 모 상가에서 재고처리로 깔루아대신 카팔리라는 비슷한 커피 리큐르를 덤터기 쓴 초보들에게 카팔리 클럽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시중에서 구하기 힘든 주류나 리큐르를 구매를 원할 때는 구입을 원하는 제품의 면세 가격이나 해외 가격을 알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때로는 해외 현지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브랜드 주류나 리큐르의 경우 최소 2배는 주고 사야 하니 해외 가격을 알아보고 가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가게들이 현금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현금을 꼭 챙겨가야 한다. 서울시내 대표적인 꽃 도매시장이기도 한데 강남에 양재동 꽃시장,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꽃시장이 있다면 강북에는 남대문 꽃시장이 있다. 도매시장이다보니 시중의 꽃집보다 훨씬 싼 가격에 신선한 꽃을 구입할 수 있다. 다만 꽃다발 형태로 포장해서 판매하지는 않고 10~15송이를 한 단위로 묶어서 팔며 신문지에 둘둘 말아서 판매한다. 참고로 꽃시장에서는 신용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오로지 현금 결제만 가능하며 현금이 없을 경우에는 꽃가게 주인이 주는 계좌번호로 꽃값을 보내면 된다. 음식으로는 갈치조림이 유명하다. 남대문 시장 안에 '갈치조림골목'이 있고, 여기는 갈치조림을 메인 메뉴로 하는 식당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원래는 일반적인 한식 식당가였는데, 1988년에 일부 식당이 갈치조림을 메인 메뉴로 하나둘 걸었고, 이것이 잘 팔리자 다른 식당도 갈치조림을 메인 메뉴로 올리면서 갈치조림골목이 된 것이다. 입구 근처에 위치한 호떡집도 유명하다. 안에 잡채를 넣고 기름에 넣어 튀긴 호떡인데, 맛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싸다는 메리트 하나로 줄 서서 사먹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사드 배치의 여파로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상거래가 예전 같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또한, 근처 상인들과 방문객들의 인성 문제로 다툼이 많아지고 있으며, 수산시장 쪽의 위생문제,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바가지 및 인종 비하발언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고 한다. 

시장의 최근 현황 말씀드려볼께요

1995년 현재 남대문시장은 대지면적 2만 467㎡, 건물연면적 6만 4613㎡에 종사자수가 9,900명으로 서울 최대의 서민시장이다. 노점상에서부터 현대식 백화점에 이르기까지 고루 갖추고 있으며, 점포수만 5,400개이고 시장노점상 또한 빽빽이 들어서 있다. 업종도 의류·청과·식품·잡화 등 모든 것을 망라하고 있다. 예전에는 주업종이 농산물이었지만, 지금은 의류취급점포가 다수이다. 그 밖에 농수산물과 축산물 등 주로 생식품류 취급상가, 일명 도깨비시장이라고 하는 외래품취급상가·공예품전문상가·악세서리전문상가 등이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 시계회사의 대리점이 모여 있는 세칭 시계골목이 있어 싼 값에 시계를 구입할 수 있고, 1980년에 세워진 숭례문시장에는 592개의 점포에서 주로 수입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남대문시장의 상권은 거의 모든 품목이 전국적인데, 특히 의류의 경우 전국 기성복의 반 정도를 공급하고 있어, 전국 최대의 의류도매상가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거래되지 않는 상품이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건축자재와 가구류를 제외한 다종다양한 상품이 팔리고 있어, 전국을 지배하는 우리 나라 최고(最古)·최대의 종합시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시설의 현대화와 더불어 의류 및 잡화, 수입품의 전문 도·소매 시장화를 통해 가능했다. 따라서, 남대문시장은 경기변동에 민감하여 실물경제의 흐름을 대변하는 우리 나라의 얼굴이 되는 시장이며, 서울의 관광명소로 손꼽히고 있다.

 

 

- 나무위키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