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대산 상원사의 역사와 문화재를 알아봅시다

by 부자손선생 2023. 12. 6.

오대산 상원사 동종

오대산 상원사의 역사에 대한 한마디

신라 33대 성덕왕(聖德王) 23년(724년)에 건립되었다. 신라시대의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상원사 동종(銅鐘)과 대리석 탑이 있으며 현재의 건물은 광복 후에 개축한 것이다. 1951년 1·4 후퇴 때 연합 사령부가 월정사와 함께 상원사를 소각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승려들의 저항으로 문만 떼어내서 불태웠다는 일화가 있다. 신라 성덕왕 4년(705년)에 왕자 보천(寶川)과 효명(孝明) 형제가 진여원(眞如院)이란 작은 적을 지은 데서 시작하였다. 그런데 진여원이 고려 말에 사라지고, 진여원 옛 터 위에 절을 지었다고 상원사(上院寺)가 되었다. 진여원이 있던 곳은 상원사 입구 부도탑 자리이다. 이후 영산각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들은 1946년 화재로 인해 전소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중창된 것이 지금의 상원사다. 상원사는 월정사와 달리 6.25 전쟁 중에도 피해를 입지 않은 절로 유명하다. 전각들 자체는 위에 언급되었듯이 1947년에 건설되었기에 문화재적 가치는 전혀 없었지만, 한국전쟁 피해를 입었다면 이 절의 국보인 문수보살상과 동종마저 잿더미로 변했을 것이기 때문. 1.4 후퇴 당시 대한민국 국군은 북한군이 절에 머물 것을 우려해 월정사 등을 불태우며 후퇴했고 이는 상원사에도 해당될 일이었다. 그러나 당시 상원사 주지였던 승려 한암[1]이 이를 필사적으로 막았다. 국군 군인들이 와서 절을 소개해야 하니 나갈 준비를 하시라고 하자 한암은 알겠다면서 가사와 장삼을 차려입고 법당에 들어가더니 정좌하고 "자, 이제 불을 놓게."라고 태연히 말했다. 군인들이 놀라며 왜 안 나오느냐고 말하자 "당신들은 군인이니 명령을 따라 불을 놓으라. 나는 불제자이니 내 몸도 함께 태워서 부처님께 공양하겠다"라고 말했다. 그것을 본 국군 장교는 상원사의 문짝을 떼어내서 태워 연기만 낸 후 돌아갔다는 훈훈한 일화가 있다. 당시 인근 부대의 장교로 있던 소설가 선우휘가 이 이야기를 전해듣고 상원사라는 소설을 썼다. 다행스럽게 상원사는 살아남았지만, 월정사를 비롯한 다른 유서 깊은 절들은 잿더미가 되었으니 국군의 흑역사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요즘 돈을 좀 벌었는지 여러번 증축해서 새 건물이 많아졌다. 이 때문에 오래된 절이라는 분위기는 좀 덜하다. 대웅전격인 문수전에는 청기와도 올리는 등 작은 절이 화려하게 변하고 있다.  상원사(上院寺)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월정사의 말사(末寺)이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의 말사이다. 세조와 관련된 일화가 많으며, 상원사 동종 등 유명한 문화재들이 있는 절이지만 요즘은 그 무엇보다 고양이석상으로 냥덕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

 

상원사에 가면 볼 수 있는 문화재를 살펴봅시다

고양이상 : 요즘 상원사의 주력 관광 상품. 상원사 문수전 아래 계단 옆에 쌍으로 있다. 원래는 흙바닥에 두던 것을 돌판 위에 올려놓더니, 어느새 조각된 기단위에 올라가더니, 전용 조명도 설치되고, 꽃밭도 생기고, 조명도 더 깔끔한 것으로 바뀌었다. 세조와 얽힌 이야기가 있는데, 이 고양이들이 상원사에 들른 세조의 바지자락을 물며 법당으로 못 가게 막아섰다. 의심도 많은 세조가 이상하게 여겨 법당 안을 뒤져보니 그 안에 재수도 더럽게 없던 자객이 있었다는 이야기. 이리하여 이 고양이들은 전용 밭을 하사 받고 석상까지 만들어져 후세에 전해지게 되었다. 이와 비슷한 일화를 가지고 있는 곳으로, 금강산 정양사(正陽寺)가 있다. 한 석상은 목이 좀 긴데, 얼굴이 닳아 없어진 것이고 위에는 관(冠)을 쓰고 있던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사실은 고양이상이 아닌 사자상이다. 우측이 암사자고 좌측이 수사자인데, 자세히 보면 수사자상의 목에 갈기가 있다. 실제 사자를 보지 못하고 불경에 묘사된 내용만 접하다보니 결과물이 좀 이상해진 것이다. 비슷한 예로 분황사 모전석탑에 있는 사자상이 물개상으로 오인된 적이 있다. 따라서 세조와 관련된 설화는 사찰에서 사자상이 가지는 의미를 알지 못했던 조선시대 사람들이 모양의 유사성만 보고 지어낸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5][6] 또한 조선 임금은 전쟁이라도 나지 않는 이상 도성 80리 밖을 나가지 않는 것이 법도였다. 거기다가 고려와 조선왕조는 국왕이 강원도 근처라도 간 적이 없다. 더군다나 험준한 태백산맥이 가로막아서 불과 1960년대만 해도 서울에서 강원도를 가려면 경상도까지 간 다음 북상해야 했다. 영동고속도로는 1971년에 만들어졌다. 물론 세조의 호불성향을 감안하면 강원도의 불편한 교통을 감수하면서까지 상원사에 다녀왔을 가능성도 아예 없다고 보기는 힘들겠지만 그것이 상원사 고양이상 설화의 역사적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다만 세조가 상원사에 간 것 자체는 사실로 보인다. 어가동순록,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피 묻은 적삼 등의 실제 유물들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 세조가 상원사 간 사실에 대해 스스로 일기까지 썼는데 굳이 안 갔다고 주장하는게 더 이상하다. 애초에 상원사에 세조가 도착하고 이를 기념하여 과거시험을 열었다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에까지 그대로 기록되어 있는데# 저런 주장을 하는 것은 실록조차 제대로 안 본 것이다. 문수보살상 : 법당에는 고양이 못지는 않아도 나름대로 유명한 문수보살상이 있다. 이 역시 세조랑 관련이 있다. 국보 제221호 이다. 상원사 동종 : 국보 제36호이며 신라시대인 725년에 주조된 청동종으로 높이는 1.7m이다. 현재 남아있는 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조선시대 안동의 읍지(邑誌)인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대도호부 관아의 문루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에 왕명에 의하여 상원사로 옮겨왔다고 한다.

이름은 같으나 다른 사찰들을 간단히 살펴보자

원주시 치악산 남대봉 아래에 다른 상원사가 있다. 치악산의 유래가 된 꿩 설화의 배경이 되는 곳이며 해발 1100m나 되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중턱에 있는 상원사와는 다르다. 이 쪽은 고려시대에 지어졌으나 1907년 일본군이 이 지역의 항일 의병들을 공격할 때 대웅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타버렸던 절이다.[8] 1970년대에 재건되었다. 마침 헷갈리기 쉽게도 이 양평군 상원사에도 국보급 통일신라 범종이 걸려서 '용문산 상원사종'이라고 불렸는데, 상원사 동종과 절 이름만 같고 다른 종이다. 현재 남아있는 용문산 상원사종(구 조계사종)은 일본이 조작한 위작 논란이 있으며 국보에서도 해지된 지 오래되었다.

 

- 나무위키 참조 -